연차휴가사용촉진제도 일반QNA
페이지 정보

본문
Calendar Year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관리하는 사업장의 경우 근로기준법상 연차휴가사용촉진을 위한 1차 서면통보시기는 매년 7월 1일~ 10일입니다.
이하는 연차사용촉진제도 일반에 대한 고용노동부 설명자료입니다.
þ 아님
□ 법 제61조의 연차사용촉진제도는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서,
ㅇ 사용자가 법에 규정된 절차와 방법으로 근로자가 최대한 연차
휴가를 사용하도록 하고,
- 이러한 사용촉진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그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한 금전보상의무를 면제
ㅇ 다만, 사용자에게 연차사용촉진을 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며, 연차사용촉진을 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항임
【 임금근로시간정책팀-2239, 2007. 6. 28. 】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제도는 개정 근로기준법(법률 제6974호, 2003.9.15.)에 따라
도입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가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법에서 규정된 조치를 다
하였음에도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 미사용 휴가에 대한 수당지급
의무를 면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반드시 동 제도를 실시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법에서 규정한 휴가사용촉진조치를 하지 아니하고, 근로자도 휴가사용
시기를 지정하지 아니하여 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미사용
휴가에 대하여 수당을 지급하여야 함
Q 회계연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하는 경우, 연도중 입사자
에게 2년차에 부여하는 연차휴가에 대한 사용촉진이 가능한지?
þ 가능
□ 회계연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하는 경우 연도 중 입사자에게
2년차에 부여하는 연차휴가는 1년 이상 근로자의 연차(15일)를
1년차의 근속기간(입사일~12.31.)에 비례하여 부여한 것으로,
ㅇ 법 제60조제1항에 따라 발생하는 1년 이상 근로자의 연차에
해당하므로, 법 제61조제1항에 따른 연차사용촉진이 가능
*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 이전글근로자가 회사에 부담할 채무를 확정기여형퇴직연금, 퇴직금 또는 확정급여형퇴직연금에서 상계가 가능한지 22.07.15
- 다음글주휴일과 근로자의 날(5.1.)이 중복된 경우 휴일 부여 방법 22.05.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