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를 알아야 사고를 예방한다
페이지 정보

본문
사고를 알아야 사고를 예방한다. |
- 고용노동부, 두 번째 「중대재해 사고백서」 발간 - |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는 12월 9일(월) 「중대재해 사고백서: 2024 우연히 일어난 사고는 없다」를 발간한다.
중대재해 사고백서는 실제 발생한 중대재해를 일반 국민도 이해하기 쉽게 심층 분석한 사례 모음집으로, 현장에서 유사 재해 예방에 활용토록 하기 위해 2023년 처음으로 발간했다. 발간 당시 산업현장을 비롯한 각계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이번이 두 번째 발간이다.
이번 중대재해 사고백서는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첫걸음인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위험성평가를 형식적으로 실시한 경우, 위험요인을 알면서도 적시에 개선하지 않은 경우 등 위험성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발생한 사고사례를 통해 위험성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지난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이 50인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된 점을 고려하여, 법상 의무 이행에 어려움을 겪는 50인 미만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사례도 담았다. 실제 사고가 발생했던 기업이 어떻게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변화했는지를 생생하게 담아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중대재해 사고백서」 E-Book QR코드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실제 사고사례를 통해 사고 예방을 위한 착안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앞으로도 현장에서 재해예방에 도움 되는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중대재해 사고백서는 고용노동부 누리집 및 전자책 플랫폼(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에서 무료로 볼 수 있으며, 책자는 일반서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담당 부서 | 산업안전보건본부 | 책임자 | 과 장 | 김태연 | (044-202-8950) |
| 중대산업재해감독과 | 담당자 | 사무관 | 정치환 | (044-202-8952) |
참고1 |
| 중대재해 사고백서 사례 |
개 요 | 사상자 수 | |||
Ⅰ. 유해․위험요인 확인․개선 그리고 점검(안전보건관리체계의 핵심) • 경영메시지1 : 최고경영자가 먼저 변해야 우리 모두가 변할 수 있다 • 경영메시지2 : 어제의 안전이 오늘의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다 | ||||
| 1 | 근린생활시설 (건설업) | ㅇ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 바닥이 붕괴되어 깔림 * 1심 징역 2년 | 사망 2명 부상 4명 |
2 | 자동차부품 제조공장 | ㅇ 다이캐스팅 기계 청소 중 기계에 끼임 * 1심 징역 2년 | 사망 1명 | |
3 | 가전제품 부품 제조공장 (제조업) | ㅇ 작업자가 이동 중인 지게차에 부딪힘 | 사망 1명 | |
4 | 선박수리 조선소 (선박 수리업) | ㅇ 선박 내 안전난간 보수작업 중 떨어짐 * 1심 징역 2년 | 사망 1명 | |
5 | 강관 파이프 제조공장 (제조업) | ㅇ 지게차 위에 있던 자재(4.2t)에 끼임 | 사망 1명 | |
6 | 근린생활시설 신축 현장 (건설업) | ㅇ 구조물 철근 조립 및 철근 절단 작업을 위해 철근절단기 사용 중 누전에 의한 감전 | 사망 1명 | |
|
|
|
| |
Ⅱ. 50인 미만 기업도 할 수 있다(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 경영메시지3 : 중소기업은 어떻게 안전보건관리체계를 만들어야 하는가 • 경영메시지4 : 중소기업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은 대기업보다 더 수월하다 | ||||
|
- 이전글임신・자녀육아기 근로자 유연근무, 더 크게, 더 넓게 지원받아요! 25.01.14
- 다음글2025년도 고용노동부 예산 주요내용 - 2025년도 고용노동부 예산 35조 3,452억원으로 확정- 24.1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