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증가폭 확대되며 4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 고용률·경활률 4월 기준 역대 최고
페이지 정보

본문
서비스업 증가폭 확대되며 4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 |
- 건설·제조업 취업자 감소 등 내수회복 지연에 따른 고용 어려움 계속 -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취약계층 고용안정 노력 지속·강화 |
1. '25.4월 15세 이상 고용률은 63.2%로 전년대비 +0.2%p 상승(4월 기준 역대 최고), 15~64세 고용률
은 69.9%로 전년대비 +0.3%p 상승(4월 기준 역대 최고)하였다.
경활률은 65.1%로 전년대비 +0.1%p 상승(4월 기준 역대 최고)하였으며, 실업률은
2.9%로 전년대비 △0.1%p 하락하였다.
* 4월 고용지표(‘24→’25년, %):<고용률>63.0→63.2 <경활률>65.0→65.1 <실업률>3.0→2.9
ㅇ 연령별로는 30대(80.8%, +0.7%p) 및 40대(79.9%, +0.8%p)ㆍ60세 이상(47.5%, +0.7%p)에서 고용률이 상승하였고, 50대(77.3%, +0.0%p)는 보합세를 보였다. 청년층(45.3%, △0.9%p) 고용률은 하락하였으나 전월 대비 감소폭이 축소(△1.4%p→△0.9%p)되었다.
2.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19.4만명 증가하였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56.7→60.6만명)에서
증가한 반면, 건설업(△18.5→△15.0만명)ㆍ제조업(△11.2→△12.4만명)ㆍ농림어업(△7.9⟶△13.4
명)은 감소하였다. 지위별로는 상용직(23.4→27.9만명)ㆍ임시직(12.6→5.2만명)이 증가했고 일
용직(△10.0→△5.4만명)은 감소하였다.
*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4.2/4)14.6 (3/4)14.6 (4/4)5.2 (‘25.1)13.5 (2)13.6 (3)19.3 (4)19.4
3. 취업자수가 4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하며 고용률ㆍ경활률이 4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였다. 특히, 전문과학·교육서비스·정보통신 등이 증가한 가운데 직접일자리 사업 효
과 및 돌봄수요 증가 등으로 보건복지·공공행정업 고용 증가세가 유지되면서 서비스업
고용 증가폭이 크게 확대되었다.
ㅇ 다만, 美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경제심리 회복 지연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되고, 건설·농림어업 고용도 지속 감소하는 등 주요업종의 고용 감소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4. 정부는 대내외 리스크 관리 및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ㅇ 대외 불확실성의 내수 영향 최소화를 위해 관세피해 수출기업 지원 및 고용충격 선제대응 관련 추경예산을 신속 집행해 나갈 계획이다.
ㅇ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순차적으로 마련하는 한편, 근본적인 건설업 활성화 방안을 통해 고용창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ㅇ 또한, 청년 등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해 청년고용 올케어플랫폼·일경험·직업훈련 등 청년 일자리 사업을 차질 없이 집행·관리하면서 추가과제도 지속 발굴·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이전글2024년(귀속) 고용, 산재 정산보험료(부과고지사업장) 산정방식 사례별 안내 25.05.15
- 다음글2025년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안내 25.04.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