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20다247190 임금 사건, 대법원 2023다302838 임금 사건
페이지 정보

본문
대법원(재판장 대법원장 조희대, 주심 대법관 오경미)은, 특정 시점 기준 재직 자에게만 지급하는 조건(‘재직조건’)과 일정 근무일수를 충족하여야만 지급하는 조건(‘근무일수 조건’)이 부가된 임금 등의 통상임금성이 문제된 사건에서, 아 래와 같은 전원일치 의견의 전원합의체 판결을 선고하여 ‘고정성’을 통상임금 의 개념적 징표에서 제외하고 통상임금의 개념과 판단 기준을 재정립하였음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전원합의체 판결(상고기각) 및 대법 원 2024. 12. 19. 선고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파기환송)]
○ ‘고정성’을 통상임금의 개념적 징표로 삼아 재직조건 및 근무일수 조건부 임 금 등의 통상임금성을 부정하고 재직조건부 임금이 조건의 부가로 인하여 소정근로 대가성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판단한 종전 판례(대법원 2013. 12. 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 등)를 변경함
▶ 종전 판례에 따르면 법령상 근거 없는 고정성 개념에 통상임금 판단이 좌우 되어 조건 부가에 의해 통상임금성이 쉽게 부정됨. 통상임금 범위가 부당하 게 축소되고 연장근로에 대해 법이 정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함
○ 대법원은 고정성 개념을 폐기하고, 근로자가 소정근로를 온전하게 제공하면 그 대가로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하도록 정해진 임금은 조건의 존부나 성취 가능성과 관계없이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는 새로운 법리를 판시함
▶ 소정근로를 온전하게 제공하는 근로자라면 충족할 ‘재직조건’이나 ‘소정근 로일수 이내의 근무일수 조건’이 부가되어 있다는 사정만으로 그 임금의 통상임금성이 부정되지 않음
▶ 종전 판례가 고정성을 부정하여 통상임금이 아니라고 본 근무실적에 따른 성과급은 일반적으로 소정근로 대가성이 없어 여전히 통상임금이 아님. 다 만 근무실적과 무관한 최소 지급분은 소정근로의 대가에 해당함
- 이전글대법원 2024.12.19. 선고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 [임금] 25.01.14
- 다음글의료기관에서의 당직 및 온콜대기 시간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 24.1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